네이트 (이집트 신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이트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전쟁, 사냥, 직조, 수호 등을 관장하는 여신이다. 붉은 왕관, 활과 화살, 작살 등의 상징물과 함께 묘사되며, 특히 엇갈린 두 개의 화살 문양으로 표현된다. 네이트는 창조 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라의 어머니, 호루스와 세트의 분쟁 중재자, 악어 신 소베크의 어머니로도 여겨진다. 사이스를 중심으로 숭배되었으며, 그리스 신화의 아테나, 베르베르인의 타니트 등 다른 신들과 동일시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시의 수호신 - 라 (이집트 신화)
라(Ra)는 이집트 신화의 태양신이자 창조신으로, 매의 머리를 가진 남성으로 표현되며, 고대 이집트인들은 그가 태양의 돛단배를 타고 하늘을 가로지르고 밤에는 저승을 여행한다고 믿었고, 라 숭배는 널리 퍼져 파라오가 "라의 아들"로 여겨지는 등 다른 신들과 결합되어 다양한 형태로 숭배되었다. - 도시의 수호신 - 마르두크
마르두크는 메소포타미아의 주요 신이자 바빌론의 도시신으로, 창조 신화에서 최고신으로 묘사되며, 태양신, 주술신, 영웅신 등 다면적인 신격을 가지고 바빌론 신년 축제 등 다양한 제의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죽음의 여신 - 산타 무에르테
산타 무에르테는 멕시코에서 "성스러운 죽음"을 의미하는 민간 신앙으로, 여성 해골 형상으로 묘사되며 순수, 보호, 정의 등 다양한 속성을 상징하며 멕시코, 미국, 중앙아메리카를 중심으로 빠르게 신자가 증가하고 있지만, 가톨릭 교회의 비판과 마약 밀매 연관성 논란도 있는 종교 운동이다. - 죽음의 여신 - 프로세르피나
프로세르피나는 로마 신화에서 평민의 권리를 옹호하는 여신이자 리베르 파테르의 여성적 측면인 리베라로 숭배받았으며, 후에 페르세포네와 동일시되면서 케레스의 딸이자 지하 세계의 여왕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 전쟁의 여신 - 두르가
두르가는 "넘을 수 없는"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한 힌두교 여신으로, 마히샤수라마르디니라고도 불리며 나바라트리 축제의 중심인물이자 고대 기원을 가진 여신이다. - 전쟁의 여신 - 아테나
아테나는 그리스 신화에서 지혜, 전략적 전투, 공예의 여신이자 아테네의 수호신으로, 제우스의 머리에서 탄생했으며 그리스 문화와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예술과 문학에서 상징으로 남아있다.
네이트 (이집트 신화) | |
---|---|
기본 정보 | |
![]() | |
이집트어 | nt |
그리스어 (고대 그리스어) | Νηΐθ |
숭배 중심지 | 사이스, 에스나 |
상징 | 활, 방패, 화살, 앙크, 베틀, 미라 천, 딸깍거리는 딱정벌레 |
가족 관계 | |
부모 | 없음, 스스로 창조함 |
배우자 | 크눔, 세트 |
자녀 | 소베크, 라, 아펩, 투투, 세르케트 |
신화적 역할 | |
역할 | 전쟁의 여신, 사냥의 여신, 지혜의 여신 |
2. 역사
네이트 신앙은 선왕조 시대부터 시작되어 초기 왕조 시대에 널리 퍼졌다. 이집트 제1왕조 시대에는 왕족 여성들의 이름에 네이트의 이름이 포함될 정도로 중요하게 여겨졌다. 고왕국 시대에는 사이스와 멤피스에서 숭배가 절정에 달했으며, 중왕국과 신왕국 시대를 거쳐 이집트 제26왕조 때 사이스를 수도로 삼으면서 다시 부흥했다. 나일강 삼각주 서부에 있는 사이스의 수호신으로 숭배되었으며, 고대 이집트인들은 사이스를 자우(Zau)라고 불렀다.[24] 또한 고대 이집트 남부의 도시 타-세네트(Ta-senet) 또는 이우니트(Iunyt)의 3주신 중 하나였으며, 이 도시는 현재 에스나(إسناar)라고 불린다.
2. 1. 초기 왕조 시대
네이트는 선왕조 시대부터 숭배된 가장 오래된 신 중 하나였다. 초기 왕조 시대의 유물에서 네이트의 상징인 엇갈린 화살이 발견된다.[24] 이집트 제1왕조 시대에는 왕족 여성들의 이름에 네이트의 이름이 포함될 정도로 널리 숭배되었다.3. 상징
네이트는 주로 붉은 왕관을 쓰고 활과 화살, 작살, 베틀의 북 등을 들고 있는 여성으로 묘사된다. 그녀의 상징은 방패 위에 엇갈린 두 개의 화살이 있는 모습이며,[8] 이는 전쟁과 사냥의 여신으로서의 역할을 나타낸다. 때때로 이 상징은 직조와 관련하여 베틀의 북으로 표현되기도 한다.[8] 와스 홀(통치와 권력의 상징)과 앙크(생명의 상징)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도 나타난다.[9]
3. 1. 전쟁과 사냥
네이트는 전쟁과 사냥의 여신으로, 전사의 무기를 만들고 죽은 자를 보호한다고 여겨졌다. 그녀의 상징은 방패 위에 엇갈린 두 개의 화살이었다.[8] 이 상징은 사이스 시를 식별하기도 했다.[8] 전쟁의 여신으로서 네이트는 전사들의 무기를 만들고 그들이 죽으면 그들의 몸을 지켰다고 전해진다.
네이트는 "길을 여는 자"(웨프와웨트와 동일)라고 불리기도 했는데,[9] 이는 사냥과 전쟁에서의 지도력뿐만 아니라 영혼을 인도하는 역할도 나타낸다. "길을 여는 자"로서의 네이트에 대한 언급은 제4왕조부터 제6왕조까지 나타나며, 네이트 여신의 여사제 칭호에서도 볼 수 있다.
네이트는 죽음과도 관련이 있었는데, 죽은 자들의 적에게 화살을 쏘았다고 한다. 그래서 그녀는 죽은 자의 수호신으로 여겨졌으며, 침입자와 죽은 자를 해치려는 자들을 쫓아내기 위해 우라에우스 뱀으로 자주 나타났다. (이 형태는 투탕카멘의 무덤에 묘사되어 있다). 그녀는 또한 호루스의 네 아들 중 하나인 두아무테프의 수호신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3. 2. 직조
네이트의 상징과 그녀의 상형 문자 일부는 베틀과 유사했으며,[25] 이러한 이유로 그리스 통치 계급이 이집트 신화를 혼합하면서, 그녀는 전쟁과 직조의 그리스 신인 아테나와 융합되었다.[12]창조와 직조의 여신으로서, 네이트는 매일 그녀의 베틀로 세상을 다시 짰다고 한다.[21] 에스나의 신전 내부 벽에는 네이트가 원시의 물에서 눈을, 즉 최초의 땅을 만들어냈다는 창조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 그녀가 마음속으로 생각한 모든 것은 30명의 신을 포함하여 현실이 되었다. 남편이 없었기에 그녀는 "처녀 어머니 여신"으로 묘사되었다.
3. 3. 수호신
네이트는 죽은 자의 수호신으로 여겨졌으며, 미라를 감싸는 붕대와 관련이 있었다.[24] 직조 여신의 역할로서 미라의 붕대에 연관되었다.[10] 군신이기도 하여 죽음과의 관련성도 강하며, 미라를 덮는 붕대나 수의를 짠다고도 전해졌다. 또한, 호루스의 네 아들 중 하나, 특히 위장을 보호하는 신인 두아무테프의 수호신으로 묘사된다.[10] 이는 복부가 인체에서 가장 중요하며, 전투 시에도 노려지기 쉽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네이트는 수호하는 카노푸스 단지에 다가오는 악령에게 활을 쏘아 쫓아낸다고 여겨졌다.4. 신화
네이트는 전쟁과 사냥의 여신으로, 방패 위에 엇갈린 두 개의 화살이 그녀의 상징이었다.[8] 이 상징은 사이스 시를 식별하기도 했다.[8] 전쟁의 여신으로서 네이트는 전사의 무기를 만들고 그들이 죽으면 그들의 몸을 지켰다고 전해진다. 네이트는 와스 홀(통치와 권력의 상징)과 앙크 (생명의 상징)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자주 나타난다.
네이트는 고대 이집트 문화와 관련된 가장 오래된 신 중 하나로, 플린더스 페트리는 그녀의 기준에 대한 초기 묘사가 선왕조 시대부터 알려져 있었다고 언급했다.[10] 그녀의 숭배는 초기 왕조 시대를 지배했으며, 특히 왕족과 관련이 깊었다.
구왕국에서 네이트의 주요 숭배지는 사이스(현대 사 엘-하가르)에 세워졌으며,[11] 멤피스에도 그녀의 성소가 있었다.[11] 그녀의 숭배는 이집트 제26왕조 동안 사이스와 상 이집트의 에스나에서 다시 번성했다.[12]
네이트의 상징과 상형 문자의 일부는 베틀과 유사하여, 후기 그리스 통치 계급은 그녀를 전쟁과 직조의 그리스 신인 아테나와 융합시키기도 했다.[8]
"램프 축제"라고 불리는 큰 축제가 네이트를 기리기 위해 매년 열렸으며, 그리스 역사가인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그녀의 신봉자들은 축제 기간 동안 밤새 야외에서 수많은 불을 피웠다고 한다.[21]
또한 죽음과 재생의 신으로서 네이트에 대한 부활 신앙이 있었다는 증거도 있다.
4. 1. 창조 신화
네이트는 원초의 물(눈)에서 최초의 땅을 만들었다고 전해진다.[21] 에스나의 신전 내부 벽에는 네이트가 마음속으로 생각한 모든 것이 현실이 되었다는 창조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30명의 신들이 포함된다.[21] 남편이 없었기에 그녀는 "처녀 어머니 여신"으로 묘사되었다.[21]프로클루스 (412–485 AD)는 사이스의 네이트 신전 아디톤에 다음과 같은 비문이 새겨져 있었다고 기록했다. (현재는 남아있지 않다.)[22]
4. 2. 라의 어머니
일부 고대 이집트 창조 신화에서 네이트는 라와 아페프의 어머니로 여겨졌다.[20] 물의 여신으로 여겨질 때, 그녀는 악어인 소베크의 어머니로 묘사되었다.[13] 이러한 물과의 연관성, 즉 나일 강과의 연관성 때문에 신들을 짝 지을 때 그녀는 때때로 크눔의 아내로 여겨졌고, 때로는 나일 강의 근원과 연관되기도 했다. 그 숭배 중심지에서 그녀는 또한 나일 농어와 관련이 있었으며 삼위일체의 여신이기도 했다.창조와 직조의 여신으로서, 그녀는 매일 그녀의 베틀로 세상을 다시 짰다고 한다.[21] 에스나의 신전 내부 벽에는 네이트가 원시의 물에서 눈을, 즉 최초의 땅을 만들어냈다는 창조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 그녀가 마음속으로 생각한 모든 것은 30명의 모든 신을 포함하여 현실이 되었다. 남편이 없었기에 그녀는 "처녀 어머니 여신"으로 묘사되었다.
프로클루스 (412–485 AD)는 (현재는 아무것도 남아 있지 않은) 사이의 네이트 신전의 아디톤에 다음과 같은 비문이 새겨져 있다고 썼다.
4. 3. 호루스와 세트의 분쟁 중재
Nt|네이트egy는 호루스와 세트 사이의 왕위 다툼에 중재를 요청받았다. 네이트는 호루스를 선택하고, 그가 선택되지 않으면 "하늘이 땅에 충돌하게 할 것"이라고 답했다.[22]토트의 요청에 따라 네이트는 이집트의 왕위를 놓고 벌어진 호루스와 세트 사이의 전쟁에 개입하여 호루스가 통치하도록 권고했다.[22]
4. 4. 악어와의 관계
네이트는 물의 여신으로 여겨질 때, 악어인 소베크의 어머니로 여겨졌다.[20] 나일 강과의 연관성 때문에 신들을 짝 지을 때 그녀는 때때로 크눔의 아내로 여겨졌고, 때로는 나일 강의 근원과 연관되기도 했다. 그 숭배 중심지에서 그녀는 또한 나일 농어와 관련이 있었으며 삼위일체의 여신이기도 했다.수신으로 여겨지는 경우, 나일강을 관장하는 크눔의 아내이자 악어의 모습을 한 세베크의 어머니로 여겨지며 나일강의 수원과도 연관되었다.[26] 나일 농어와도 연관되어 그 신앙의 중심지에서는 3주신(크눔, 네이트, 그들의 아들 Hak) 중 하나로 여겨진다.
때때로 네이트는 아기 악어를 수유하는 여성으로 묘사되었고, "악어의 간호사"라는 칭호로 불렸는데,[13] 이는 그녀가 악어 신 소베크의 어머니 역할을 했다는 상 이집트의 남부 지방 신화를 반영한다.
5. 숭배
네이트는 하(下) 이집트의 사이스(고대 이집트어: zau|자우egy)를 중심으로 숭배되었으며, 멤피스와 에스나 등 다른 지역에서도 숭배되었다. 그녀의 숭배는 초기 왕조 시대를 지배했으며, 특히 제1왕조의 네 명의 왕족 여성의 이름에 네이트의 이름이 사용될 정도로 이집트 초기 사회에서 중요한 신이었다.[11]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네이트를 기리는 "램프 축제"가 매년 열렸으며, 사람들은 축제 기간 동안 밤새도록 야외에서 수많은 등불을 밝혔다.[21]
5. 1. 사이스
zau|자우egy라고도 불린 사이스는 네이트 숭배의 중심지였으며, 이곳에는 네이트 신전이 있었다.[24]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사이스 시민들은 네이트를 숭배하고 그녀를 기리는 "램프 축제"를 열었는데, 이 축제 기간 동안 밤새 야외에서 수많은 불을 피웠다고 한다.[21] 프로클루스(412–485 AD)는 사이의 네이트 신전 아디톤에 다음과 같은 비문이 새겨져 있었다고 기록했다. (현재는 남아있지 않다.)5. 2. 에스나
에스나에서 네이트는 크눔, 소베크와 함께 삼주신으로 숭배되었다.[26] 이곳의 신전 내부 벽에는 네이트가 원시의 물 눈에서 최초의 땅을 만들었다는 창조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21] 그녀가 마음속으로 생각한 모든 것은 30명의 모든 신을 포함하여 현실이 되었다고 한다. 남편이 없었기에 그녀는 "처녀 어머니 여신"으로 묘사되었다.[21]6. 다른 신과의 관계
네이트는 이집트 신화에서 다양한 신들과 관계를 맺고 있다. 주로 맹렬한 신으로 묘사되며, 활과 화살 또는 작살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네이트는 전쟁과 사냥의 여신으로, 그녀의 상징은 방패 위에 엇갈린 두 개의 화살이다.[8]
네이트는 와스 홀(통치와 권력의 상징)과 앙크(생명의 상징)를 들고 있으며, 매일 태양을 낳는 암소인 메헤트-웨레트와 연관되어 있다.[9] 이러한 형태에서 그녀는 원시 시대와 매일의 "재창조"와 연관되며, 라 또는 왕의 수호자로서 우라에우스로 표현되기도 한다.[10] 시간이 지남에 따라 네이트는 창조의 원시 물을 인격화한 존재로 여겨지게 되었다.[10]
네이트는 소베크의 어머니로 여겨지기도 한다. 물의 여신으로 여겨질 때는 악어 신 소베크의 어머니로 묘사되었으며,[13] "악어의 간호사"라는 칭호로 불리기도 했다. 라의 어머니로서 메헤트-웨레트의 형태로 "라를 낳은 위대한 암소"로 묘사되기도 한다. 그러나 후기 종교 관례에서는 특정 남신과 짝을 이루지 않아 짝이 없는 상태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14]
호루스와 세트의 갈등에서 네이트는 신들 사이의 분쟁을 중재하는 역할을 맡았다. 그녀는 호루스를 선택하고, 그가 선택되지 않으면 "하늘이 땅에 충돌하게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22]
피라미드 텍스트에서 네이트는 여신 셀케트와 짝을 이루어 하늘을 지탱하는 존재로 나타난다.[16] 또한 죽은 자의 수호신으로서 호루스의 네 아들 중 하나인 두아무테프를 보호하는 역할도 맡았다.
6. 1. 동일시
네이트는 하토르나 이시스와 같은 이집트 여신들과 동일시되었다.또한 고대 베르베르인들이 북아프리카에서 신앙하던 여신 타니트와도 동일시되었다 (가장 오래된 문헌에 기록됨). 타니트는 디도가 건설한 카르타고를 중심으로 하는 페니키아 문화에서도 신앙되었다.
타니트(Ta-nit)는 이집트어로 "Nit (네이트)의 땅"을 의미한다. 타니트는 군신이자 처녀 지모신, 풍요의 신이기도 하다. 그 상징은 이집트의 앙크와 매우 흡사하며, 페니키아 남부 사렙타에서 발굴된 신전에는 페니키아의 여신 아스타르테 (이슈타르)와 타니트를 명확하게 연결하는 비문이 발견되었다. 타니트는 습합(interpretatio graeca)을 통해 몇몇 그리스 신화의 여신과도 동일시되었다.
헬레니즘 시대에 이집트를 약 3세기 동안 지배한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기원전 30년에 로마에 정복되었다. 이 기간 동안 소아시아에서 이집트로 이주한 사람들이 아누케라는 여신을 숭배했다. 이 군신은 곡선을 그리며 깃털을 단 관을 쓰고 창 또는 활과 화살을 가지고 있었다. 후에 아누케는 네이트와 동일시되었다.
고대 그리스의 역사가 헤로도토스 (기원전 484년-425년경), 플라톤의 소크라테스식 문답법 저작 『티마이오스』에서는 네이트와 아테나를 동일시하고 있다. 아마도 둘 다 군신이며 베 짜는 여신이라는 공통점 때문에 그렇게 생각된 것으로 보인다[29]。
월리스 버지는 이집트에서 기독교가 전파될 때 그리스도의 어머니와 이시스나 네이트 같은 여신의 유사성이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 처녀생식은 그리스도 탄생 훨씬 이전부터 네이트의 속성이었기 때문에, 외경을 통해 네이트나 이시스의 다른 속성이 그리스도의 어머니에게 전가되었다[30]。
6. 2. 습합
네이트는 고대 베르베르인이 북아프리카에서 숭배하던 여신 타니트와 동일시되었으며, 디도가 건설한 카르타고를 발상으로 하는 페니키아 문화에서도 신앙되었다.[20]
타니트(Ta-nit)는 이집트어로 "Nit (네이트)의 땅"을 의미한다. 타니트는 군신이자 처녀 지모신이며, 풍요의 신이기도 하다. 타니트의 상징은 이집트의 앙크와 매우 흡사하며, 남 페니키아의 사렙타에서 발굴된 신전에는 페니키아의 여신 아스타르테(이슈타르)와 타니트를 결부시키는 비문이 발견되었다. 타니트는 습합(interpretatio graeca)에 의해 몇몇 그리스 신화의 여신과도 동일시되었다.[20]
헬레니즘 시대에 이집트를 약 3세기 동안 지배한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기원전 30년에 로마에 정복되었다. 이 기간 동안 소아시아에서 이집트로 이주한 사람들이 아누케라는 여신을 숭배했다. 이 군신은 곡선을 그리며 깃털을 단 관을 쓰고 창 또는 활과 화살을 가지고 있었다. 후에 아누케는 네이트와 동일시되었다.[20]
고대 그리스의 역사가 헤로도토스(기원전 484년-425년경), 플라톤의 소크라테스식 문답법 저작 『티마이오스』에서는 네이트와 아테나를 동일시하고 있다. 아마도 둘 다 군신이며 베 짜는 여신이라는 공통점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29]
월리스 버지는 이집트에서 기독교가 보급될 때 그리스도의 어머니와 이시스나 네이트와 같은 여신의 유사성이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 처녀생식은 그리스도 탄생 훨씬 이전부터 네이트의 속성이었기 때문에, 외경을 통해 네이트나 이시스의 다른 속성이 그리스도의 어머니에게 전가되었다.[30]
6. 3. 그리스 신화와의 관계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기원전 484년-425년경)는 이집트 사이스의 시민들이 네이트를 숭배했다고 기록했다.[23]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은 그의 대화록인 ''티마이오스''에서 크리티아스가 네이트의 그리스 이름이 아테나라고 언급했다.[23] 이는 두 여신 모두 전쟁과 직조를 관장한다는 공통점 때문으로 보인다.[29]7. 현대적 해석
네이트는 고대 이집트 사회에서 여성이 다양한 역할과 권능을 가졌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신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녀는 창조, 전쟁, 지혜, 직조 등 다양한 능력을 가졌는데, 이는 고대 사회에서 여성이 담당했던 다양한 역할과 그 중요성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프로클루스(412–485 AD)는 사이스의 네이트 신전에 다음과 같은 비문이 새겨져 있었다고 기록했다. (현재는 남아있지 않다.)[22]
참조
[1]
서적
The Symbolism and Significance of the Butterfly in Ancient Egypt
https://scholar.sun.[...]
[2]
서적
Handbook of Egyptian mythology
ABC-CLIO
2002
[3]
서적
The Complete Gods and Goddesses of Ancient Egypt
Thames & Hudson
2003
[4]
서적
Five Egyptian Goddesses: Their Possible Beginnings, Actions, and Relationships in the Third Millennium BCE
Bloomsbury Academic
2020
[5]
간행물
Two Protodynastic Objects in Brussels and the Origin of the Bilobate Cult-Sign of Neith
1996
[6]
서적
Five Egyptian Goddesses: Their Possible Beginnings, Actions, and Relationships in the Third Millennium BCE
Bloomsbury Academic
2020
[7]
서적
The Complete Gods and Goddesses of Ancient Egypt
Thames & Hudson
2003
[8]
웹사이트
Neith
https://www.brooklyn[...]
2024-07-06
[9]
웹사이트
Nit (Neith), Goddess of Weaving, War, Hunting and the Red Crown, Creator Deity, Mother of Ra
https://www.touregyp[...]
2024-07-06
[10]
웹사이트
Neith
https://www.worldhis[...]
2024-07-06
[11]
서적
The Routledge dictionary of Egyptian gods and goddesses
Routledge
2005
[12]
서적
Egyptian Gods & Goddesses
Britannica Educational Publishing in association with Rosen Educational Services
2014
[13]
서적
Handbook of Egyptian mythology
ABC-CLIO
2002
[14]
서적
Egyptian myth: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15]
웹사이트
Deities in Ancient Egypt - Neith
https://egyptianmuse[...]
2024-07-04
[16]
문서
Das Amduat
1963
[17]
서적
The Symbolism and Significance of the Butterfly in Ancient Egypt
https://scholar.sun.[...]
[18]
학술지
Two Protodynastic Objects in Brussels and the Origin of the Bilobate Cult-Sign of Neith
https://www.jstor.or[...]
1996
[19]
웹사이트
Neith
https://www.globaleg[...]
2024-07-06
[20]
서적
Handbook of Egyptian mythology
ABC-CLIO
2002
[21]
서적
Who's who in Egyptian mythology
Scarecrow Press
1995
[22]
서적
Egyptian myth: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23]
웹사이트
Plato, Timaeus, section 21e
https://www.perseus.[...]
2024-09-04
[24]
문서
op, cit.
[25]
문서
The Way to Eternity: Egyptian Myth
[26]
문서
op. cit.
[27]
서적
The Great Goddesses of Egypt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8]
서적
The Commentaries of Proclus on the Timaeus of Plato, in Five Books
https://books.google[...]
A.J. Valpy
[29]
문서
Timaeus
[30]
서적
The Gods of the Egyptians: Vol 2
Dover
196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